Logo
정보/이슈

트럼프, 워싱턴 D.C에 주방위군 투입 결정..."인간쓰레기들 치울 것"

목차 📚

📌 먼치 POINT

주방위군 투입 배경과 실행 계획

  •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1일 워싱턴 D.C 치안 개선을 위해 주방위군 800명·연방 요원 500명 투입 발표

  • 불법 이민자·노숙자를 범죄 원인으로 지목하며, 노숙자를 수도 외곽으로 강제 이전하겠다고 밝힘

  • FBI 등 10여 개 연방기관이 이미 사전 조사에 착수했으며, 비밀경호국 특별 순찰로 현장 통제 강화

  • 법적으로 대통령은 48시간 동안 D.C 경찰 통제가 가능하지만 30일 이상은 의회 승인 필요

정치적 의도와 파장

  • 민주당의 텃밭인 D.C에 연방 통제를 확대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

  • D.C 시장과 시의회는 범죄율 감소 통계를 들어 대통령 권한 남용이라 반발하며 소송 준비

  • 보수층은 강력한 리더십으로 평가하지만 진보·시민단체는 군사 점령에 비유, 시민 불복종 운동 전망

  • 트럼프는 LA·시카고 등 다른 대도시에도 주방위군 투입을 시사해 전국적 권한 충돌과 정치 양극화 심화


들어가기 전에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의 상식의 벽을 허물어드리는 센서스튜디오입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으로 8월 11일 기자회견을 통하여 워싱턴 D.C 치안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주방위군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미 하원 감독위원회에 워싱턴 D.C 자치권법 7040조를 발동하여, 연방 정부가 직접 주방위군을 통제할 계획이라고 알렸습니다.
오늘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방위군을 투입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그 배경과 전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트럼프의 주방위군 투입 규모와 지휘체계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1일,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 소셜에 “워싱턴 D.C에서 범죄, 야만, 오물 그리고 인간 쓰레기(human scum)는 사라질 것”이라며 수도 재정비를 “우리의 수도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불법 이민자와 노숙자들을 두고, 이들로 인해 워싱턴 D.C의 치안 상황이 걷잡을 수 없이 악화했다고 비난했습니다. 이어 범죄와 싸우기 위해선 주방위군을 배치하는 등의 극약 처방이 필요하다고 발언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늘은 워싱턴 D.C의 해방의 날이며, 우리는 수도를 되찾을 것"이라고 발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내용에 따르면 워싱턴 D.C에는 주방위군 800명과 500명의 연방 요원이 치안 업무에 투입될 예정입니다. 또 이제부터 워싱턴 D.C 경찰국 지휘를 펜 본디 법무부 장관이 맡는다고 덧붙였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은 워싱턴 D.C 주방위군 병력이 덴 드리스콜 육군 장관의 지휘 하에 일주일 동안 워싱턴 D.C로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으며, 특수 주방위군도 배치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백악관에서는 FBI, 마약 단속국, 주류·담배·화기 단속청 등 10여 개의 연방기관 소속 요원들을 일주일간 도시에 배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노숙자 대대적 추방 및 재배치 계획

이번 조치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단순한 치안 강화나 범죄 단속 차원을 넘어, 노숙자들에 대한 대대적인 추방과 재배치가 동시에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에 워싱턴 D.C 시내 곳곳에 설치된 노숙인 텐트촌의 사진을 직접 게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노숙자들은 즉시 이곳을 떠나야 한다. 우리는 당신들에게 거처를 제공하겠지만, 그것은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발언은 단순한 인도적 이전 조치가 아닙니다. 사실상 도심권에서 노숙인 인구를 완전히 제거하겠다는 강경한 태도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됩니다.

연방기관의 사전 조사 활동

미국 주요 언론 특히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이미 FBI 요원 120명이 선발대로 투입되어 주요 공원, 광장, 대로변 주변의 상황을 사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노숙자 밀집 구역에 대한 조사 작업이 진행 중이었던 정황으로 보입니다.

백악관은 비밀경호국 소속 직원들에게 워싱턴 D.C 전역에서 특별 순찰을 개시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이는 단순 경호 목적을 넘어 대통령 지시 사항 이행을 위한 실질적 현장 통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이번 계획에서 눈여겨볼 점은 노숙자들의 새로운 정착지가 구체적으로 어디인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인권단체와 야권에서는 사실상 강제수용소나 격리지역으로 내모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법적 근거와 제약사항

컬럼비아 특별구 자치법에 따르면, 미국 대통령은 연방 목적을 위해 워싱턴 D.C의 경찰력을 사용해야 할 비상 성격의 특별한 상황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때, 워싱턴 D.C의 경찰을 48시간 동안 통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30일간의 임시 조치이며, 30일 넘게 통제하고 싶다면 미 의회의 상하원에서 표결을 통해 승인받아야 합니다.

이번 조치로 트럼프 대통령은 48시간 이내에 워싱턴 D.C 경찰국을 연방 정부 통제권에 둘 수 있지만, 30일 이상 통제를 하려면 미 의회 상하원의 표결을 통해 승인을 받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미국 수도에 주방위군이 배치된 사례는 이전에도 잇었ㅅ브니다. 2021년 1월 6일 미국 국회의사당 난입 사태나 2020년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이후 시위 때도 주방위군이 출동했습니다. 하지만 수도에 주방위군을 투입하는 것은 굉장한 정치적 모험이기 때문에, 그만큼 잘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워싱턴 D.C 지방정부의 강력 반발

뮤리얼 바우저 워싱턴 D.C 시장은 연방 정부의 경찰권 통제 계획을 사전에 전혀 고지받지 못했다며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바우저 시장은 워싱턴 D.C의 범죄율은 2023년에 정점을 찍고 현재 감소 중이며, 30년 만에 가장 낮은 폭력 범죄율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탈세 앨런 워싱턴 D.C 시의원 역시 워싱턴 D.C의 폭력 범죄가 30년 만에 최저 수준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럼에도 대통령이 공공안전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은 현실에 근거하지 않은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했습니다. 실제로 워싱턴 D.C의 살인 사건은 2024년 대비 31% 정도 줄어들었으며, 자동차 절도 사건도 2024년 대비 37% 감소했습니다.


극약 처방의 배경과 정치적 의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렇게까지 극약 처방을 하는 배경에는 최근 있었던 특정 사건이 있습니다. 8월 3일에 미국 행정부 정보효율부의 공무원이었던 에드워드 코리스틴이 워싱턴 D.C에서 강도범을 막아서다 청소년 10명에게 폭행을 당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건을 두고 트루스 소셜을 통해 워싱턴 D.C의 범죄는 완전히 통제 불능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재선에 성공한 뒤로 워싱턴 D.C로 상징되는 연방 정부 내 ‘딥 스테이트(정부 내 비밀스러운 기득권층)’ 척결을 천명하면서, 민주당의 텃밭인 워싱턴 D.C와 대립각을 세우곤 했습니다.|
인구 70만 명인 워싱턴 D.C는 민주당의 세가 굉장히 강합니다. 이 도시의 공화당 득표율은 2016년 대선 때 4%, 2024년 대선 때 7%에 그쳤을 정도로 매우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습니다. 때문에 공화당의 트럼프 대통령이 도시 미관과 안전을 명분으로 워싱턴 D.C에 대한 연방 통제권 확대를 노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향후 정치적 파장과 전망

트럼프 대통령의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 선언 이후, 미국 정치 지형이 단기간에 꽤 요동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뮤리얼 바우저 시장과 워싱턴 D.C 시의회 민주당 지도부는 이번 조치를 두고, 대통령 권한 남용이자 지방자치 침해로 규정했습니다. 그리고 이미 연방법원에 긴급 가처분 신청과 행정소송 제기를 준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민주당과 진보진영, 시민단체, 인권단체들은 주방위군의 수도 배치를 군사 점령에 비유했습니다. 자연슬버게 시민 불복종 운동, 연좌 농성 등 다양한 형태의 저항을 조직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보수 성향 유권자와 치안 강화에 민감한 계층은 이번 조치를 강력한 리더십의 발현으로 받아들이며 지지를 보낼 것입니다. 이에 따라 미국 사회의 여론은 더 양극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국 확산 가능성과 장기적 영향

더 주목해야 할 점은 이번 조치가 워싱턴 D.C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발표에서 워싱턴 D.C뿐만 아니라 LA, 시카고, 뉴욕, 볼티모어, 오클랜드 등 범죄율이 높다고 알려진 대도시에도 주방위군을 투입하겠다고 직접 언급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수도 치안 강화 조치가 아니라, 전국 주요 도시로 확대될 수 있는 전국적 치안 개입 모델의 첫 사례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실제로 여러 대도시에 주방위군이 동시 투입된다면, 각 도시의 민주당 소속 시장들과의 대립이 격화되고 지방 정부와 연방 정부 간의 권한 충돌이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한 지역의 정치 갈등을 넘어, 미국 전역의 정치 사회 질서를 뒤흔드는 대규모 파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치며

결국 이번 사태는 단순한 치안 정책을 넘어 대통령 권한의 범위와 연방주의의 원칙, 지방자치의 한계를 시험하는 중대한 사건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법정 다툼, 의회 표결, 대규모 시위가 이어지고,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정치 구조와 권력 균형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앞으로 미국 정치가 크게 요동칠 것이 분명해 보이는 상황입니다. 이번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주목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Created by 센서스튜디오
CC BY 라이선스 | 교정 SENTENCIFY | 에디터 최수아

thumbnail

센서스튜디오

유튜브 구독자 52.9만명

팔로워 15명

주식회사 북엔드
대표: 최현수 | 사업자 등록번호: 602-86-03073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155번길 4,
대전 스타트업파크 S1 30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