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한가운데☢️핵폐기장이 있다?
📌 먼치 POINT
1.거대한 콘크리트 돔
마샬 제도 에네워타크 환초에 있는 루닛 섬에 위치
미국의 핵실험으로 나온 핵 폐기물을 묻어둔 장소
- 1946년 ~ 1958년동안 67차례 핵실험 진행
- 원자폭탄의 1천배에 달하는 위력107m 넓이에 7.6m의 높이
2.마셜제도
1156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화산 주위의 산호초가 쌓여서 생긴 섬
핵실험으로 유명한 비키니 섬이 존재
거대한 콘크리트 돔

마셜 제도 에네워타크 환초에 있는 루닛 섬에는 거대한 콘크리트 돔이 있습니다. 환초는 산호초가 동그란 환 형태로 이루어진 섬들을 말하는데, 이곳에 특별한 구조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루닛 섬에 있는 거대한 콘크리트 돔 옆에는 커다란 비슷한 크기의 블루홀이 하나 더 있어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이 섬에는 사람이 살고 있지 않으며, 현지인들은 이 콘크리트 돔을 '무덤'이라고 부릅니다. 이 무덤의 정체는 바로 미국이 핵실험으로 나온 핵 폐기물을 묻어둔 장소입니다.
세계 최초 수소폭탄 실험장

에네워타크 환초는 세계 최초로 수소폭탄 핵실험이 이루어진 장소입니다. 미국은 1946년부터 1958년까지 마셜제도 에네워타크 환초와 비키니 환초 일대에서 무려 67차례나 핵실험을 진행했습니다. 1970년대에 대피했던 주민들이 돌아오기 시작하자 미국 정부는 환초 일대에서 방사능 제거 작업을 실시했습니다. 핵실험의 흔적은 여전히 곳곳에 남아있는데, 갑자기 깊은 골짜기가 생긴 곳이나 바다에서 갑자기 깊어지는 곳들이 그 증거입니다.
7만 3천 톤 핵폐기물을 덮은 콘크리트 돔

방사능 제거 작업을 하면서 오염된 흙과 쓰레기 등을 모아 시멘트와 섞은 다음, 환초의 동쪽 섬인 루닛 섬에 위치한 107m 넓이의 폭발 구멍에 차곡차곡 집어넣었습니다. 그 쓰레기 더미가 지상 7.6m까지 쌓이자 접시 모양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어서 덮었고, 이것이 지금과 같은 무덤 모양의 콘크리트 돔이 되었습니다.
이 루닛섬의 핵물질은 상상을 초월하는 정도로, 무려 7만 3천 톤의 핵 폐기물을 묻고 그곳을 콘크리트 돔으로 덮어뒀습니다. 당시 마셜 제도에서 진행한 핵실험은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의 1천 배에 달하는 위력이었기 때문에 핵물질의 농도도 상상 이상입니다. 얼마 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문제가 화제가 되었지만, 태평양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서 마셜 제도에 묻힌 핵물질을 생각해보면 후쿠시마만의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1156개 섬으로 이루어진 마셜 제도

오세아니아의 미크로네시아에 속하는 섬나라 마셜 제도는 무려 1156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입니다. 1520년대쯤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의해 처음으로 이 섬들의 존재가 유럽에 알려졌고, 이후 1788년에 섬을 방문한 영국의 선장 존 마셜의 이름을 따서 마셜 제도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마셜 제도의 인구는 2020년 기준으로 약 6만 명 정도입니다. 섬이 1156개라고 하니 단순 계산하면 섬 하나당 52명이 살고 있는 셈입니다. 이 마셜 제도에는 만조 수위에서 해발 6m를 넘는 곳이 거의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마셜 제도의 환초들은 해저 화산 주위에 생긴 산호초가 쌓여서 생긴 섬이기 때문에, 다른 산호 섬들과 마찬가지로 기후 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의 영향으로 물에 잠길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마셜 제도는 열대 우림 기후로 연평균 기온이 약 28도 정도이며, 원주민들은 새벽이나 저녁에 주로 활동하고 낮에는 별로 돌아다니는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비키니 섬의 핵실험 상처

핵실험으로 유명한 비키니 섬이 바로 이 마셜 제도에 있습니다. 비키니 환초에서는 1946년 7월 1일 세계 최초 원자폭탄 투하 공개 핵실험이 이뤄졌습니다. 이 비키니 섬에서는 1958년까지 모두 23차례의 핵실험을 했습니다.
지금은 섬을 걸어 다닐 수는 있을 정도로 핵물질의 농도가 낮아졌다고 하지만, 아직도 비키니 섬에서 난 과일은 먹기에 위험한 정도라고 합니다. 위성으로만 봐도 굉장히 아름다운 지역인데 핵물질로 오염되어 있다는 것은 상당히 가슴 아픈 역사입니다.
중국의 태평양 진출 야망

마셜 제도에는 롱겔라프 환초라는 곳이 있는데, 중국이 마셜 제도의 정치인들을 매수해서 이곳에 초소형 국가를 세우려고 했습니다. 중국이 롱겔라프 환초를 중국의 특별 자치구로 만드는 내용의 결의안이 마셜제도의 의회까지 통과했지만, 당시 마셜제도의 하이네 대통령의 저지로 다행히 실행되지는 못했습니다. 이는 태평양으로의 진출을 위한 중국의 야망이 드러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남중국해에서 중국이 벌이고 있는 일들을 보면 놀라운 일도 아닙니다.
마무리하며

우리에겐 다소 낯선 지역인 마셜 제도는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여행으로 가보고 싶은 곳입니다. 교통편을 알아보니 호주든 뉴질랜드든 괌이든 환승을 몇 번씩 해야 갈 수 있으며, 가는 데 최소 하루, 오는 데 또 최소 하루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기상 상황이 허락해야 예정된 시각에 왔다 갔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직장인들이 휴가 내서 가기에는 다소 어려운 곳이지만, 나중에 은퇴를 하고서라도 한 번쯤은 꼭 가보고 싶은 곳이 바로 이 마셜 제도입니다.
Created by 지오티비 Geo TV
CC BY 라이선스 | 교정 SENTENCIFY | 에디터 하윤아

지오티비 Geo TV
유튜브 구독자 2.67만명
팔로워 7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