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인☕, 이런 경우엔 독입니다☠️ 커피 당장 끊어야 하는 위험 신호 & 자가진단법
📌 먼치 POINT
현대인은 커피를 일상적으로 마시지만,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카페인 중독은 하루 250mg 이상 섭취와 12가지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나타날 때 의심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불면, 불안, 근육 경련, 집중력 저하 등이 있습니다.
과잉 섭취 시 두통, 만성 피로, 심리적 불안 등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언제나 적정 섭취가 중요합니다.
들어가기 전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하루 카페인 섭취량을 400mg 이하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상당히 많은 양으로, 개인의 카페인 민감도에 따라 적정 섭취량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인차를 고려하여 자신의 신체 상태에 맞는 카페인 섭취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페인 중독이 의심된다면?
🩺 카페인 중독 자가진단법
미국 정신의학회에서는 카페인 중독을 진단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카페인 중독으로 진단받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하루 카페인 섭취량이 250mg 이상
2. 다음 12가지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나타날 때
이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카페인 중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만약 250mg 이상 섭취하지만 증상이 5가지 미만이라면, 병적인 중독 상태는 아니더라도 주의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 카페인 중독 증상
카페인 중독을 판단할 수 있는 증상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12가지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나타날 때 카페인 중독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1. 안절부절못함: 초조하고 안정되지 않은 상태가 지속되며, 스스로도 불안함을 느끼게 됩니다.
2. 소화 불량 또는 소화기 장애: 속이 쓰리거나 위가 더부룩하고, 평소보다 소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3. 신경 과민: 평소보다 감정이 예민해지고, 사소한 일에도 쉽게 짜증이 납니다.
4. 과도한 흥분: 감정 조절이 잘 되지 않고, 쉽게 흥분하거나 들뜨는 상태가 됩니다.
5. 불면증: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자주 깨고 깊은 수면을 취하기 어렵습니다.
6. 근육 경련: 근육이 이유 없이 떨리거나, 눈꺼풀이 자주 경련을 일으킵니다.
7. 주의산만: 한 가지 일에 집중하기 어렵고, 쉽게 산만해집니다.
8. 두서없는 사고와 언어: 생각이 흐트러지고, 말할 때도 논리적 흐름이 끊기거나 어색합니다.
9. 안면 홍조: 특별한 이유 없이 얼굴이 붉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10. 지치지 않는 증상: 쉬어야 할 때 피곤함이 느껴지지 않고, 계속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생깁니다.
11. 빈뇨: 소변을 자주 보게 되어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됩니다.
12. 심계항진: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가슴이 두근거리는 느낌이 자주 듭니다.
카페인 과다 섭취가 부르는 건강 문제
카페인 중독 진단 기준 외에도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시나요?
그렇다면 과도한 카페인 섭취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1. 긴장성 두통: 과도한 카페인은 근육 경련과 수분 부족을 유발해 긴장성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두통과 함께 근육 긴장이 자주 발생한다면, 카페인 섭취량을 점검해 보세요.
2. 심리적 불안감과 공황장애: 카페인이 직접적으로 공황장애를 유발하진 않지만, 기존에 불안감이나 공황장애가 있는 경우 과도한 카페인 섭취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카페인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만성적인 피로감: 카페인은 일시적으로 피로감을 줄여주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효과가 떨어지면 더 깊은 피로가 찾아와 만성적인 피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카페인 의존성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4. 갑상선 기능 항진증: 카페인이 직접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유발하진 않지만, 이미 맥박이 빠르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이 있는 사람에겐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카페인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카페인은 적정량을 섭취할 경우 집중력 향상과 피로 감소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하게 섭취하면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일상을 위해 자신의 카페인 섭취량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적절히 조절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Created by 교육하는 의사! 이동환TV @doctorLeeTV
CC BY 라이선스 / 교정SENTENCIFY / 편집자 최선화

교육하는 의사! 이동환TV
유튜브 구독자 110만명
팔로워 8명
댓글
0